(중2 역사) 서아시아의 국민국가 건설 노력과 아프리카의 저항
본문 바로가기

라라 클래스/중학교 고등학교 교과목

(중2 역사) 서아시아의 국민국가 건설 노력과 아프리카의 저항

728x90

1. 오스만 제국

 

1) 오스만 제국의 위기


가. 19세기에 들어와 안으로는  술탄의 권위가 약화되고, 밖으로는 서구열강의 압력으로 오스만 제국이 위기

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민족이 독립 운동 전개--> 오스만 제국 영토가 소아시아 지역으로 축소

 

2) 탄지마트 

탄지마트
탄지마트 발표

19세기 전반 서양 문물의 수용과 부국강병을 목표로 탄지마트라는 근대족 개혁 추진( 1839년 ~ 1876년)

보수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간섭으로 실패

 

*탄지마트 : 오스만 제국은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의 마련, 신식 교육의 도입, 근대적인 군대 마련을 통해 제국의 부흥을 꾀하였으며, 미드하트 샤파 등 혁신적인 관료는 서양식 의회를 개설하고 헌법을 제정했다.

 

3) 청년 튀르크당의 활동

청년 튀르크
청년 튀르크당의 거리 행진

가. 술탄 압둘 하미드 2세가 헌법을 폐지하고 의회를 해산하는 등 전제 정치를 강화하자, 젊은 장교와 관료, 지식인을 중심으로 조직된 청년 튀르크당이 입헌정치를 요구하며 무장봉기를 일으킴 (1908년)

 

나. 청년 튀르크당은 헌법 부활, 산업 육성, 인재 양성, 조세제도 개혁 등을 추진하였지만, 튀르크 민족주의를 내세워 제국 내 다른 민족의 반발을 샀다.

 

 

2. 아라비아 반도

1) 아라비아 반도의 상황 

오스만 제국이 쇠퇴한 후 서양 열강이 아라비아 반도에 침입하여 세력 확대

 

2) 와하브 운동 

와하브 운동
와하브 왕국

가. 압둘 와하브가 [쿠란]의 가르침 대로 생활하고 이슬람교 본래의 순수성을 되찾자는 와하브 운동을 전개

나.아랍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는 운동으로 발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와하브 왕국이 세워졌지만, 곧 멸망

 

*와하브 왕국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와하브 운동을 계기로 와하브 왕국이 건설 되었지만, 곧 오스만 제국이 보낸 이집트군에 의해 진압 됨.

와하브 왕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부활 (1932년)

 

3) 아랍문화 부흥 운동

19세기 초 해외 문학 작품을 아랍어로 번역하고 아랍고전을 연구하는 등 아랍 문화 부흥 운동이 일어남

 

 

3. 이란 

1) 카자르 왕조의 성립과 위기

카자르
카자르 왕조(이란)

가. 사파비 왕조 멸망 이후 분열되어 있던 이란 지역을 18세기 말에 카자르 왕조가 재통일

나. 19세기 초 러시아와 영국의 경쟁에 휩쓸려 많은 영토와 이권을 빼앗김.

영러침략
영국과 러시아의 이란 침략

 

2) 이권 회수 운동

개혁 세력과 이슬람 성직자들은 *담배불매운동 을 비롯한 이권 회수운동을 벌이는 한편, 입헌 정치의 실시를 요구

 

* 담배불매운동

1890년에 카자르 왕조의 왕이 근대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영국 상인들에게 담배 독점 판매권을 주자, 알 아프카니의 주도로 이슬람 성직가, 국민 등이 담배 불매 운동을 전개함. 담배불매운동은 점차 왕과 외세에 반대하는 운동이 되었고, 이에 굴복한 카자르 왕조는 영국에게 넘긴 이권을 회수함. 그러나 이 운동으로 카자르 왕조는 영국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급하였고, 경제적으로 영국에 종속되었음.

 

3) 입헌 혁명 

입헌혁명
이란의 입헌 혁명

1906년 카자르 왕조의 전제 정치에 반대하는 입헌 혁명이 일어나 의회개설과 입헌 군주제 헌법이 제정되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과 영국, 러시아의 압력으로 좌절

 

 

4. 이집트 

1) 자치권 획득

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이집트에서는 총독 무함마드 알리징병제 실시, 서양식 군대 창설, 근대적 공장 설립근대화 운동을 추진

나. 이집트의 국력을 회복한 무함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과 전쟁을 벌여 자치권 획득

 

2) 근대적 개혁의 추진과 위기

가. 무함마드 알리가 죽은 뒤에도 이집트는 철도를 부설하고 *수에즈 운하를 건설하는 등 경제적 자립을 위해 노력

수에즈운하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세계최대의 인공 수로. 

이집트 정부가 프랑스의 제안으로 건설 공사를 시작하여 1869년에 완공함. 그러나 건설 과정에서 많은 이집트인이 목숨을 잃었고, 이집트 정부는 운하 선설을 위해 빌린 막대한 비용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림. 결국 이집트 정부는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수에즈 운하의 주식을 영국과 프랑스에 헐값으로 넘겼고, 이후 영국은 수에즈 운하를 관리한다는 핑계로 군대를 동원하여 이집트의 통치권을 뺏음

 

나. 유럽 열강의 간섭과 급격한 개혁, 전쟁, 수에즈 운하 건설 등으로 재정난을 겪게 되었고, 결국 영국과 프랑스의 내정 간섭을 받음

다. 아라비 파샤 등이 헌법 제정과 의회 설립, 외세 배격 등을 내세워 혁명을 주도하였으나 곧 영국에 진압되었고, 이후 이집튼는 영국의 보호국이 됨(1914년)

아라비 파샤
아라비 파샤

 

5. 아프리카의 저항 운동

1) 북부 아프리카

알제리가 프랑스의 침략에 저항하였으며, 수단에서는 *마흐디(구세주) 운동이 일어남

 

*마흐디 운동 : 19세기 말 수단은 영국과 이집트으이 이중 지배를 받음 이때 무함마드 아흐마드는 스스로를 구세주라고 부르며 외국인을 몰아내고 모든 사람이 평등한 새로운 이슬람 세계를 만들려고 하였음.

 

2) 남부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헤레로족독일인의 착취에 맞서 봉기하였고, *줄루 왕국영국과 전투를 벌였어요.

 

*헤레로족의 저항

헤레로족은 자신들이 사는 지역을 마음대로 빼앗은 독일에 맞서 1904년 무장봉기를 일으킴.

독일은 이 봉기로 많은 독일인이 죽자 헤레로족에 대한 무자비한 학살을 자행

헤레로족
헤레로족 저항 봉기

 

*줄루 왕국

18세기 말 '검은 나폴레옹' 이라는 별명을 가진 샤카 줄루의 영도 아래 수립된 나라.

샤카 줄루가 형제들의 다툼으로 암살당한 뒤에 세력이 급격하게 쇠퇴.

줄루 왕국은 1879년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지만, 이후에 영국군에 패함

줄루 왕국
줄루 왕국

3)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의 황제 메넬리크 2세는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여 국력을 키웠으며, 19세기 말 이탈리아의 침략을 저지하고 독립을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