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러시아 혁명
1) 러시아의 위기
가. 자유주의 사상과 사회주의 사상이 널리 보급되었고, 산업화가 추진되면서 노동자가 계급이 늘어남
나. 차르의 전제 정치가 계속되는 가운데 러일 전쟁에서도 밀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짐
2) 피의 일요일 사건 (1905년)
가. 노동자와 농민들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이자, 정부가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
나. 노동자와 농민의 시위가 계속되자 니콜라이 2세는 이를 무마하기 위해서 헌법 제정, 두마(국회) 설치를 약속(이행X)
3) 3월 혁명
가. 차르의 전제 정치가 강화되는 가운데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전으로 경제가 악화되었고, 거듭된 패전으로 병사들의 사기가 떨어짐
나. 1917년 전쟁 중지와 차르 타도를 외치는 봉기가 일어났고, 이후 노동자, 병사 대표들이 *소비에트를 구성하여 제정을 무너뜨리고 임시 정부를 수립함(3월 혁명)
*소비에트
평의회 또는 대표자 회의를 뜻하는 러시아어로, 노동자와 농민, 병사들의 대표로 구성된 기구
4) 11월 혁명
임시 정부가 개혁을 미루고 전쟁을 지속하자, 레닌이 주도한 *볼셰비키가 무장봉기를 일으켜 임시 정부를 타도하고 소비에트 정부를 세움
* 볼셰비키
러시아 사회 민주주의 노동당의 한 분파로서, 11월 혁명을 통해 정권을 잡은 뒤 1918년에 러시아 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꿈
5) 소련의 수립
가. 레닌은 토지와 주요 산업의 국유화 등 사회주의 개혁을 추진하였고, 급격한 공산화에 따른 경제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신경제 정책(NEP)을 실시
* 레닌의 신경제 정책 (NEP)
급격한 공산화 정책과 내전으로 국내의 경제 상황이 약화되자, 레닌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소규모 기업 활동을 인정하고, 농민이 현물세를 내고 남은 생산물을 자유롭게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게 하는 등 시장 경제 일부를 인정
나. 경제를 안정시킨 후 레닌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 주변 소비에트 정부를 흡수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소련)을 수립(1922년)
* 사회 주의의 확산
레닌은 국제 송산당 조직인 코민테른을 조직하고, 각국의 노동 운동과 식민지 해방 운동에 대한 지원을 약속. 이에 따라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사회주의자들의 봉기가 일어났고, 프랑스에서는 공산당이 의회에 진출. 한편, 코민테른은 국제 레난 학교를 세워 각국의 민종 운동가에게 사회주의 사상을 가르쳤는데, 이곳에소 공부한 대표적인 인물로 중국의 덩샤오핑, 베트남의 호찌민, 한국의 박헌영 등이 있음.
6) 스탈린의 통치
경제적으로는 신경제 정책을 폐기하고 경제 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하여 중공업을 육성하고 농업 집단화 정책을 실시하는 등 사회주의 통제 경제 정책을 강화하였고, 정치적으로는 반대파를 제거하며 독재 체제를 강화
'라라 클래스 >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역사) 전후 중국의 반제국주의 운동 (0) | 2021.11.15 |
---|---|
(중 2 역사)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0) | 2021.11.04 |
(중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0) | 2021.11.03 |
(중2 역사) 조선의 근대화 (0) | 2021.11.02 |
(중2 역사) 일본의 근대화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