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2 역사)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본문 바로가기

라라 클래스/중학교 고등학교 교과목

(중 2 역사)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728x90

1. 파리 강화 회의 

제 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승국들은 파리 강화 회의(1919년)를 열고 미국 *윌슨 대통령이  제안한 평화 원칙 14개조를

원칙으로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함

 

* 윌슨의 평화 원칙 14개조

민족 자결 주의, 비밀 외교 종식, 군비 축소, 국제 평화 기구 창설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이 가운데 민족 자결주의는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는 국가들에 자극을 주었다.

 

* 파리 강화 회의

회의는 윌슨 대통령의 제안한 평화 원칙 14개조에 따라 진행하기로 하였지만, 실제로는 전승국의 이익과 패전국에 대한 응징이 강하게 적용. 이에 따라 승전국과 패전국이 맺은 개별 조약에서는 승전국의 이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고, 베르사유 조약은 보복적인 성격이 강했다.

파리베르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2. 베르사유 체제

가. 연합국이 독일과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1919년)하고, 다른 패전국들과도 개별적으로 강화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베르사유 체제가 성립

 

나. 독일은 군비 축소, 배상금 지급을 요구 받았고 해외의 모든 식민지를 상실

 

* 베르사유 체제

표면적으로는 전쟁 방지, 세계 평화 확립 등을 목표로 하였지만, 실제적으로는 패전국에 대한 보복과 응징이 이루어짐

 

* 베르사유 조약

제119조 독일은 해외 식민지에 관한 모든 권리와 요구를 동맹국과 연합국의 주요 국가에 넘겨 준다.

제173조 독일에서 일반 의무병제는 폐지 된다. 독일 육군은 지원병제로만 조직핳고 보충할 수 있다.

제235조 독일은 동맹국과 연합국의 청구액이 확정되기 전에 우선 배상 위원회가 정하는 지급 방법에 따라... 200억 마르크 금화에 해당하는 액수를 지급해야 한다.

베르
베르사유 조약 체결 전
베르사유 체제 하의 유럽

3. 국제 연맹 창설

국제연맹
국제 연맹

가. 윌슨의 제안에 따라 협력 강화와 평화 유지를 목적으로 42개국이 참여한 국제 연맹이 창설됨(1920년)

 

나. 미국이 처음부터 불참하였고 *독일과 소련도 참여가 배제되었으며 국제 분쟁을 막을 무력 수단을 갖추지 못하여 제 역할을 수행 할 수 없었다.

 

* 독일과 소련의 국제 연맹 가입

독일은 1926년, 소련은 1934년에 가입

 

4. 기타

열강들은 군비 축소를 논의하기 위해 워싱턴 회의, 런던 횐의 등을 열었으며, 미국과 프랑스는 국제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자는 부전 조약을 체결

 

* 평화 구축 노력

각국은 1921년에 워싱턴 회의를 열어 군비 감축을 논의하였고 1925년에 로카르노 조약을 통해 독일의 국제 연맹의 가입과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에 합의함. 또한, 1928년에는 15개 국가가 국가 정책 수단으로서의 전쟁을 포기하는 캘로그-브리앙 조약을 체결하였으며, 독일의 전쟁 배상금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도스안과 영안을 결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