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공황의 발생과 대응
1. 대공황의 발생
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셰계의 경제를 주도해 나갔으나, 과잉 생산으로 인해 점차 불황에 빠져들었다.
나. 1929년 미국의 주가 폭락을 수많은 은행과 기업이 도산하고 시렁ㅂ자가 늘어나는 등의 혼란이 나타났고, 이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 세계 경제가 침체 되었다. (대공황)
2. 각국의 대응책
가. 미국은 국가가 경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조정자의 역할을 하는 뉴딜 정책을 추진
*뉴딜 정책
뉴딜 정책의 주요 내용으로는 농업과 산업 생산량의 조절, 노동자와 농민의 생계 지원, 공공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이 있다.
나. 영국( 파운드 블록 )과 프랑스( 프랑 블록 )는 본국과 식민지를 하나로 무꾸는 블록 경제를 형성하여 대공항에 대처
*세계 경제의 혼란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이 자국 경제의 보호에 힘쓰면서 세계 무역은 크게 위축되었고 소비 시장은 축소되었다. 게다가 국내 산업 기반이 취약하거나 넓은 식민지를 갖추지 못하였던 국가들은 더욱 큰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2. 전체주의의 등장
*전체주의
개인의 모든 활동은 국가나 민족과 갗은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만 존재한다는 이념을 바탕으로 국가가 국민의 생활을 통제하는 체제
1. 이탈리아
가. 이탈리아가 사회가 혼란한 틈을 타 무솔리니가 파시스트당을 결성하고 1922년 로마 진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함
나. 파시스트 정부는 파시스트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였고, 대공항응로 경제가 악화하자 군국주의를 내세워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였다.(1953년)
*이탈리아의 혼란
제1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걸맞는 이득을 얻지 못하여 이탈리아 내 민족주의자들이 불만을 터트렸으며, 전후 물가 폭등과 실업자의 증가, 사회주의 사상 확산 등으로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남.
*군국주의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을 군사력에 의한 대외적인 발전에 두고, 전쟁과 그 준비를 가장 중요시하는 정치 체계
2. 독일
가.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 책임과 배상금 부담으로 정치적,경제적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공황을 계기로 히틀러와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나. 히틀러와 나치당은 국제 연맹을 탈퇴하고 독일의 재무장을 추진하였으며 비밀경찰(게슈타포)과 친위대(SS)를 창설하여 강력한 독재 체제를 구축하였다.
다. 유대인을 박해하는 등 인종차별 정책을 펼쳤으며 오스트리아를 병합하고 체코슬라비아를 점령하는 등 대외 침략에 나섰다.
*히틀러와 나치당의 정권 장악 배경
히틀러와 나치당은 베르사유 조약 폐기, 극단적인 게르만 민족주의와 인종주의, 국가주의를 내세워 독일 국민의 지지를 얻었다. 정권 장악 이후 히틀러는 바이마르 헌법을 무력화하고 총통이 되어 권력을 휘둘렀다.(1934년)
3. 일본
가.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혼란에 빠지자. 일본은 군국주의를 추구하면서 만주 사변(1931년)을 일으키고 이듬해 만주국을 세웠다.
나. 1932년에는 일본 군부의 강경파가 쿠테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군국주의를 강화하였으며, 1933년에는 국제 연맹에서 탈퇴하였다.
다. 1937년에는 중일 전쟁을 일으켜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침략을 감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난징 대학살을 일으켰다.
*국제 연맹 탈퇴
독일과 일본은 1933년, 이탈리아는 1937년에 국제 연맹을 탈퇴하였다.
'라라 클래스 >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역사) 냉전 체제의 형성 (0) | 2021.11.24 |
---|---|
(중2 역사) 제 2차 세계 대전 (0) | 2021.11.22 |
(중2 역사) 전후 중국의 반제국주의 운동 (0) | 2021.11.15 |
(중 2 역사)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0) | 2021.11.04 |
(중 2역사) 러시아 혁명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