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1. 국공 내전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국공 합작이 파기되고,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내전이 일어났다.
(국공 내전, 1946~1949년)
2. 중화 인민 공화국의 수립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면서 중화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1949년),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동하였다.
*국민당 정부의 패배 원인
전쟁 초기에는 병력과 장비 등에서 우세한 국민당이 유리한 모습을 보였지만, 관리의 부패와 경제 정책의 실패 등으로 농민의 지지를 잃으면서 점차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반면에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은 점령 지역에서 토지 개혁 등을 실시하여 농민의 지지를 얻었다.
2. 인도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지만(1947년), 독립 직후 종교 갈등이 지속되면서 힌두교 국가인 인도와 이슬람 국가인 파키스탄으로 분리되었다.
*인도의 분열
1947년에 인도는 힌두교 국가인 인도와 이슬람교 국가인 파키스탄으로 분리되었고, 1948년에는 불교도가 많은 스리랑카가 분리 독립하였다. 1971년네는 동파키스탄이 독립 투쟁을 벌여 방글라데시로 독립하였다.
3. 동남아시아
1. 베트남
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와 싸워 독립하였으나(1954년) , 미국의 진원을 받은 남베트남이 통일 정부 수립에 반대하면서 베트남 전쟁이 발생하였다.
나. 미군은 반전 운동에 밀려 철수하였고, 이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함락하고 베트남을 통일(1975년)하여 공산주의 국가 를 세웠다.
*베트남과 프랑스의 전쟁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남은 호찌민의 주도로 베트남의 독립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베트남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자 하였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부정하고 전쟁을 일으켰다. (베트남 독립 전쟁)
2. 인도네시아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카르노가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하였고, 이후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는 네덜란드와 전쟁을 벌여 승리함으로써 1949년에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3. 기타
프랑스의 지배를 받고 있던 캄보디아와 라오스, 영국의 지배를 받던 미얀마, 말레이시아 등이 독립하였고,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4. 서아시아
프랑스와 영국의 위임 통치를 받던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등이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독립을 이루었으며, 본래 아랍인들이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 지방에서는 서방국가의 도움을 받은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공화국을 세웠다.(1948년)
*중동 전쟁
이스라엘 공화국의 수립에 반발하여 팔레스타인과 주변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과벌인 네 차례의 전쟁이다.(중동 전쟁, 1948년~1979년) 이 전쟁은 모두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다.
5. 아프리카
1. 이집트
나세르가 쿠테타를 일으켜 장권을 장악하고 공화정을 세웠으며(1952년),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하고 운하 경영권을 되찾았다.
2. 아프리카
1951년에는 리비아, 1957년에는 가나가 독립을 이루었고, 1960년에는 17개국이 독립하여 아프리카의 해라고 불렸다.
한편 알제리는 8년에 걸친 프랑스와의 전쟁 끝에 1962년에 독립을 이루었다.
*아프리카의 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가 독립하였다. 그러나 식민 지배 당시 아프리카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서구 열강이 실시한 차별 정책과 독립 이후 자원을 둘러싼 유럽 국가들의 개입으로 분쟁이 계속되고 있었다. 또한 서구 열강이 부족들의 기존 영역을 무시한 채 국경선을 임의로 그어 지배하였기때문에 영토 분쟁도 자주 일어났고 있었다,이러한 문제로 아프리카는 빈곤과 기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라라 클래스 >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역사) 냉전 체제의 형성 (0) | 2021.11.24 |
---|---|
(중2 역사) 제 2차 세계 대전 (0) | 2021.11.22 |
(중2 역사) 대공황의 발생과 전체주의의 등장 (0) | 2021.11.22 |
(중2 역사) 전후 중국의 반제국주의 운동 (0) | 2021.11.15 |
(중 2 역사)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0) | 2021.11.04 |